- 효과 : 마르고 안색이 나쁘고 식욕이 없고, 피로하기쉬운 사람의 다음 제증 : 위장허약, 만성위염, 위의 무거움, 구토, 하리.
 
- 성분
 
- 인삼
 - 복령
 - 백출
 - 감초
 
- 效能 : 補氣健脾. 利水消腫.
 
- 適應症
 
야위고 안색이 좋지 않으며 식욕이 없고 피로가 잘 오는 다음 제증:
少氣懶言. 위장허약. 만성위염. 구토. 설사. 大便당박. 소아감적. 胃部
팽만감. 위염. 위십이지장궤양. 만성위장염. 위무력증. 위하수. 수술후 위장장애. 소화불량. 과민성대장증후군. 빈혈증. 저담백혈증 등.
- 藥效群 : 健胃消化藥. 止瀉整腸藥.
 
- 參考
 
脾胃氣虛로 인하여 氣血生化가 어려울 때의 기본 방제. 복벽의 긴장감이 심하게 저하되어 있으며 心窩部 진수음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육체적이나 정신적 피로로 권태무력감 때나 수족이 나른할 때 체력에 관계없이 복용. 정신증상이 현저한 경우에 甘麥大棗湯이나 신경안정제, 자율신경조정약을
병용.
- 체력의 저하:
 
- 병후: 육군자탕
 - 수술전후
 - 더위먹었을 때
 - 임신중: 허약자, 이완성출혈의 예방
 - 산후조
 
- 아토니 체질:
 
- 위, 장아토니: 보중익기탕
 - 眼精피로, 약시
 - 괄약근의 긴장저하
 - 방광의 수축력 저하
 - 자궁
 
- 鑑別
 
- 注意事項
 
- 다른 한방처방과 병용할 경우에는 함유 한약의 중복에 주의하고 특히 감초를 포함한 제제와의 병용에 주의하여야 한다.
 - 과민증: 발진. 담마진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투여중지.
 - 감초에 대한 사용상 주의점 참조.
 - 임부 또는 임신 가능성이 있는 여성에게는 신중한 투여 요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