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014 麻子仁湯(마자인탕)




  • 성분
  1. 마자인 29%
  2. 대황 23%
  3. 행인 14%
  4. 작약 11%
  5. 지실 11%
  6. 후박 11%

  • 효능 : 潤腸通便.

  • 적응증
體力 보통 以下인 사람의 습관성 변비노인이나 병후 허약자의 변비치질 수술후의 변비발열發汗등을 수반한 경도의 복통토끼똥 모양의 배변 등.

  • 약효군 : 瀉下藥.

  • 참고
小承氣湯 + 마자인행인(潤腸) + 작약(鎭痙)으로 구성된 방제로서 대변이 딱딱한 形狀을 나타낼 때가 많으며 부드러운 下劑로써 고령자나 병후 회복기에 체액이 고갈되어 皮膚나 점막의 윤기가 부족할 때 사용한다마자인은 지방류를 30%나 함유하고있고 腸內의 알칼리에 의해 지방산을 생성장벽을 자극하는 동시에 수분흡수를 방해함으로써 완화작용을 일으키고 행인이 함유한 기름성분으로 변을 묽게하여 潤腸作用이 촉진된다.

  • 주의사항
  1. 다른 한방처방과 병용시 함유 한약의 중복에 주의하고 특히 감초와 대황의 양에 주의.
  2. 설사연변이 있는 자증상의 악화 우려
  3. 위장이 심하게 허약한 자식욕부진복통설사
  4. 체력이 심하게 떨어진 자부작용증상악화 우려
  5. 복진상 복부가 연약하고 복벽에 힘이 없는 자
  6. 大黃(자궁수축작용 및 골반내장기의 충혈작용)에 의한 流早産의 위험이 있다大黃속의 anthraquinone 유도체 → 모유중에 이행 → 유아의 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