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031 大柴胡湯(대시호탕)





  • 성분 : 시호 반하 생강 황금 작약 지실 대황

  • 效能: 
  1. 和解少陽. 瀉下熱結. 疎肝解鬱. 淸熱瀉下. 內瀉熱結. 복통. 
  2. 체력이 튼튼하고 비교적 건강하나 변비가 있는 사람의 다음 제증 : 위염, 상습변비, 고혈압에 수반하는 어깨결림, 두통, 변비, 비만증

  • 適應症: 
  1. 비교적 體力이 있고 변비가 잘 생기고 上腹部가 팽만해 답답하며 이명, 어깨결림을 동반한 다음 제증; 惡心. 嘔吐. 口苦. 易怒. 胸脇苦滿. 어지러움. 頭痛. 頭重. 급성간염. 급성췌장염. 신우염. 늑막염. 대장염. 중이염. 결막염. 인두염. 담낭염. 황달. 간기능장애. 고혈압. 뇌출혈. 담마진. 위산과다증. 急性 胃腸炎. 食慾不振. 치질. 糖尿病. 노이로제. 不眠症. 비만증. 습관성 변비. 당뇨병 합병 고지혈증, 콜레스테롤성 담석 형성억제, 과영양성 지방간, 본태성 고혈압. 
  2. 구갈이 나고 현기증이 나고 오한과 신열이 나고 대변이 굳어지고 소변이 붉어지며 헛소리를 하면서 조열이 나는 증세를 다스린다. 그밖에 뇌출혈· 고혈압· 간질(癎疾)· 담석증·간염(肝炎)· 위염·변비·복통·비만체질· 지방심장(脂防心臟)· 비반증(肥伴症)· 신장결석(腎臟結石)· 장염· 유행성감기(流行性感氣) 등에 처방한다.
  3. 少陽病이 陽明病으로 轉屬하여 身熱이 나고 大便이 굳어지고 小便이 붉으며 譫語를 하며 潮熱이 나는 것을 다스린다.

  • 藥效群: 瀉下藥. 高血壓症藥. 肥滿症藥. 

  • 參考: 
  1. 少陽.陽明合病에 대한 대표처방으로 肝鬱化火, 胃氣上逆등에 쓰인다. 
  2. 변비가 심하면 大黃甘草湯을 병용하고 황달이 심할 경우에는 茵蔯蒿湯을 병용한다. 
  3. 小柴胡湯보다 염증이 강한 경우에 쓴다. 
  4. 고혈압, 급만성간염, 담낭염, 급성췌장염, 중이염 등에 응용하는데 비교적 체력이 있으며병이 체표에서 체내로 진행되어 오한과 발열이 교대로 나타나고 입이 쓰며 오심, 구토, 상복부가 팽만하고 옆구리가 거북하며 복통, 변비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 鑑別: 
  1. 소시호탕 (小柴胡湯) :  胸脇苦滿이나 腹壁 긴장도는 심하지않고 변비경향도 없다.
  2. 시호가용골모려탕 (柴胡加龍骨牡蠣湯) : 抑鬱傾向, 불안, 불면, 易怒. 정신증상이 뚜렷하다.
  3. 시호계지탕 (柴胡桂枝湯) : 體力보통 以下. 胸脇苦滿. 發汗傾向. 口苦. 易怒性
  4. 방풍통성산 (防風通聖散) :  體力충실. 비만. 高血壓. 胸脇苦滿은 없다.

G012 桂枝加朮附湯(계지가출부탕)






  • 성분 : 계지 작약 대추 생강 감초 백출 가공부자 / 桂枝湯 + 蒼朮, 附子

  • 效能: 散寒袪濕. 鎭痙止痛. 解表. 

  • 適應症: 
  1. 風濕性 關節炎. 류마티스성 관절염. 寒症으로 인한 神經痛. 筋肉痛. 四肢關節疼痛. 만성浮腫에 가슴이 두근거리거나 아플 때. 추위를 잘 타며 소변이 시원하지 않고 尿量감소. 手足은 痙攣痛이며 屈身이 困難할 때. 微熱. 盜汗 등.   
  2. 濕家의 骨節疼痛者, 신체마비자, 두통이 극심한 자에게 활용한다.
  3. 통증이 심하면 강활․방풍을, 저리면 위령선․진교 등을 加해준다.
  4. 濕家 骨節疼痛者 or 身體痲痺者 or 頭痛이 極甚한 者에게 활용한다. -> 몸이 비대해서 말초순환이 잘 안 되는 사람(濕家라고 할 수 있음.), 날씨만 흐리면 손발이 저리고 쑤시고 아픈 사람, 수술한 사람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 藥效群: 鎭痛藥. 관절통, 신경통

  • 參考: 
  1. 本 처방은 桂枝加附子湯에 蒼朮을 加한 處方이므로 寒症을 수반하여야 함. 
  2. 만성으로 냉한증이며 안색이 나쁘고 근육의 긴장감이 미약할 경우에 사용하며 마황이 들어 있는 처방을 복용시 식욕상실이나 쉬 피로해지는 사람에게 본 처방의 효과가 있는 경우가 많다. 
  3. 眼面紅潮. 口渴이 있을 때는 越婢加朮湯을 同量 병용한다. 

  • 鑑別: 
  1. 월비가출탕 (越婢加朮湯) :體力보통 以上. 구갈. 上氣. 관절통.     
  2. 의이인탕 (薏苡仁湯)  : 體力보통 以上. 관절통. 口渴과 寒症은 없음.     
  3. 마행의감탕 (麻杏薏甘湯) : 體力보통. 급성관절염. 관절腫脹. 口渴은 없음.     
  4. 팔미원 (八味元)   : 體力보통 以下. 口渴. 腰足冷. 夜間頻尿. 浮腫. 陰痿. 

G010 桂枝加龍骨牡蠣湯 (계지가용골모려탕)





  • 성분 : 계지 용골 모려 대추 생강 작약 감초

  • 效能: 安神. 通陽. 補氣血. 調和營衛. 

  • 適應症: 
  1. 興奮을 잘하며 下腹部 腹直筋에 緊張이 있고 비교적 體質虛弱한 사람으로 疲勞를 잘 느끼고 입맛이 없으며 야위고 顔色이 좋지 않은 기혈부족 증후에 上氣. 현기증. 심계. 신경질. 神經 過敏. 성신경쇠약. 不眠症. 多夢. 盜汗. 自汗. 手足冷. 遺精. 몽정. 조루. 陰痿. 男性 귀두 끝의 냉감. 허약자의 脫毛등 虛陽浮越의 증상을 겸할 때. 어린아이가 밤에 熱이 많이 나거나 깜짝깜짝 놀랄 때, 잘 때 땀을 많이 흘리거나, 오줌을 자주 쌀 때 등. 
  2. 失精한 남자는 아랫배가 땡기고, 음경의 끝이 차고(寒), 어지럽고 머리카락이 잘 빠지고,脈이 극도로 허약하고 느리며, 섭취한 곡식을 소화시키지 못하고 그대로 설사하고 빈혈이 있으며 정력이 弱하다. 脈이 모두 허풍선이 같으면서 약간 긴장된 사람은 남자는 失精되고 여자는 夢交를 하게 된다. 계지가용골모려탕을 반드시 사용한다.
  3. 성적(性的)신경쇠약, 몽정(夢精), 몽교(夢交). 남자실정(男子失精), 남성의 유정(遺精)
  4. 음식이 소화되지 않고 그냥 나온다. 
  5. 머리카락이 잘 빠지거나 비듬이 많은 사람으로 피로감이 심하고 상기(上氣)가 잘 된다.(탈모증, 禿頭病)
  6. 신경쇠약, 불면증, 노이로제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또 건망증(健忘症)이 심할 때.
  7. 야뇨증(夜尿症), 전립선비대증, 소아야체증(少兒夜涕症), 마음이 불안정하고 동계(動悸), 잘 놀라는 증상에.
  8. 부인들의 월경불순, 다몽(多夢), 건망증(健亡症)에.
  9. 시험 점수가 갑자기 이유 없이 떨어지는 수험생은 주로 성적(性的)인 문제가 많이 관련되므로 본 방증이 많이 나타난다.
  10. 갑상선기능항진(甲狀腺機能亢進)환자에 본방증이 많다. 
  11. 체질이 허약한 사람으로 피로하기 쉽고 흥분하기 쉬운 사람의 다음 제증 : 신경질, 불면증, 소아야제, 소아야뇨증, 안정피로
  12. 신경쇠약(enervation), 자율신경실조증, 성신경쇠약 등에 응용하는데 기운이 없고 신경이 잘 흥분되거나 피로하며 식욕부진, 심계항진(palpitation), 불안, 불면, 꿈이 많고 탈모, 비듬, 유정(遺精), 몽교(夢交), 배꼽 아래 복대동맥의 박동을 느끼는 증상 등을 목표로 한다.
  13. 소아의 경련, 소아가 이유없이 밤에 우는 증상인 야제증(夜啼症)에 사용한다.

  • 藥效群: 精神神經藥, 固澁劑. 

  • 參考: 
  1. 허약체질자로 피곤해서 잠에서 깨어나지 못하고 尿실금이 있는 경우 
  2. 허약아동으로 신경질적이고 밤에 자주 울고 잠을 제대로 못자며 야위고 복직근의  擎急이 있는 경우
  3. 남성의 夢精이나 여성의 夢交시 
  4. 근육질의 체실자는 柴胡加龍骨牡蠣湯을 사용한다. 

  • 鑑別: 
  1. 시호가용모령탕(柴胡加龍骨牡蠣湯) :體力보통 以上. 정신 불안. 胸脇苦滿.
  2. 소건중탕(小建中湯) :    易疲勞. 小兒 夜尿症. 腹痛. 腹直筋 緊張.           
  3.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  :   體力보통 以下. 히스테리 증상. 小兒 夜涕.         
  4. 억간산가진피반하(抑肝散加陳皮半夏)  : 易怒. 胸脇苦滿. 疳症. 小兒 夜涕.     
  5. 팔미원(八味地黃丸) :     體力低下. 腰足冷. 陰痿. 야간 빈뇨.        
  6.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  :    盜汗. 易疲勞. 腹直筋 緊張. 腹痛.        
  7. 시호계지건강탕(柴胡桂枝乾薑湯)  :   體力低下. 약간의 胸脇苦滿. 上熱下寒. 精神 症狀

  • 處方解說
  1. 인체에 칼슘이 부족하여 신경이 예민해지고, 설사가 잘 나며, 2. 교감신경 흥분으로 한출(汗出)이 심하고, 건망증(健忘症), 심계항진(心悸亢進), 불면(不眠), 피로감 등의 증상을 나타낼 때 ; 칼슘을 대량 공급하여 아세틸콜린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신경의 이상흥분을 완화하고, 교감신경의 흥분을 억제하여 심계항진, 불면증을 개선하고 설사증상을 완화한다.
  2. 교감신경 흥분이나 또는 항원항체반응에 의하여 한출(汗出)이 나타날 때
  3.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한출(汗出)로 인한 진액(津液)의 배설을 억제한다.
  4. 한출이 있고, 신경이 예민한 사람이 뇌파의 이상 발작을 나타낼 때 : 뇌파의 이상발작을 완화한다. 

  • 處方의 藥理作用
  1. 용골, 모려는 칼슘을 공급하여 아세틸콜린의 합성을 촉진하므로 써 교감신경 흥분을 완화하여 신경을 안정시키고, 불면증상을 개선한다. 또 칼슘이 장(腸)운동을 강화하여 설사증상을 개선한다.
  2. 계지는 혈관을 확장하여 혈류를 느리게 함으로써 한출(汗出)을 완화하고 대추, 작약은 세포에 영양을 공급하여 발한(發汗)을 억제한다. 
  3. 治男子失精 女子夢交 -> 桂枝湯 + 체력허약, 頭痛, 불규칙한 發熱, 心悸亢進, 目眩不眠, 自汗出, 下腹部가 拘急, 生殖神經衰弱症에 활용한다.
  4. 龍骨, 牡蠣 -> 收斂鎭靜작용
  5. 계지탕에 용골과 모려가 합쳐진 처방이다.